■화화화
이건주/ 재경영광군향우회 자문위원


자효쌍친락(子孝雙親樂)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아들이 효도하면 두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다 이루어진다.


 


헌수(獻壽)배례(拜禮)


부모와 존상(尊上)의 회갑, 고희(古稀). 구거례(패백례)에 올리는 절을 말하며 차음에 전진(前進)배례 하고 다음 술을 올리고 다음에 퇴전(退前)배례한다.


 


악수(握手)


평절이나 반절을 받아야 할 경우에 서로 오른손을 맞잡는 것으로 윗사람이 먼저 손을 내미는 것이 정상(正常)이다.


 


공수(拱手)


공손한 자세는 손을 맞잡는 것이다. 의식 행사에 참석 했을 때와 어른 앞에 있을 때는 손을 맞잡는 공수를 해야 하는 데, 이때 남자(男子)는 왼손은 오른손을 잡고, 여자(女子)반대다.


 


공수의 기본(基本)동작


①예복을 입었을 때 맞는 손은 배꼽 위에 붙인다.


②어른에게 인사(人事)나 제사(祭祀)를 모실 때는 배꼽아래에 붙인다. 이 때 남자는 왼손은 오른손을 잡고, 여자는 반대다.


③상가(喪家) 조의례 때에는 남자는 오른손은 왼손을 잡고, 여자는 반대다. 


 


절의 횟수


산 사람에게는 평상시 한 번, 죽은 사람이나 제사(祭祀)묘제(墓祭)에는 두 번이다. 신부가 폐백례에 부모(父母)에게 올리는 절은 내 번이다. 그러나 받는 이의 말씀에 따라 절의 횟수를 줄일 수 도 있다.


 


언어(言語)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로서 사회생활을 하려면 의사(意思)소통이 되어야 하고, 말은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말은 자기 말을 줄이고, 상대 말은 존중하며 자세는 좋은 인상으로 경청해야 한다. 필요 이상의 말을 삼가고, 건설적인 말이 주가 되어야 한다. 같은 말은 되풀이 하지 말고 간결하고 요령 있게 한다. 듣는 사람의 표정과 반응을 살핀다.


 


나의 뿌리


일자척인 나의 뿌리는 어머니다. 나의 본관(本館)관향(貫鄕)이 어디고, 나의; 뿌리인 시조(始祖)할아버지는 누구이시며 파(派)는 어디에 속하고 행렬(行列)만은 기억해야 합니다.


 


촌수(寸數)


자기 혈족간의 관계를 수(數)로 나타낸 것입니다. 무촌(無寸)은 부부(夫婦)간이요. 1촌은 아버지와 나 사이로 부자(父子) 지간입니다. 동고조(同高祖) 할아버지 손은 8촌이며 호칭은 삼종(三從) 형제(兄弟)간이다.


 


세(世)와 대(代)    


①세(世)는 시조(始祖) 할아버지를 기준(基準)으로 아래로 내려가 자기를 포함해서 몇 세라고 합니다.


②대(代)는 자기를 빼고 아버지를 1대로 하여 위로 올라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대(代)는 세(世) 보다 하나가 적습니다.


 


치가(治家)편


①모름 직이 손아랫사람들은 일의 크고 적음이 없이 제멋대로 행동(行動)하지 말고 반듯이 집안 어른에게 였주어보고 행(行)하여한다.


②손님 접대는 풍성(豊盛)하게 하되 살림 살이는 검소(儉素)하게 한다.


③바보 같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女子)는 남편(男便)을 공경(恭敬)한다.


④사람을 부릴 때 있어서 먼저 그들의 춥고 배고픔을 생각하라.


⑤아들이 효도하면 두 어버이가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⑥때때로 불이 나는 것을 막고 밤중에 도적이 드는 것을 방지하라.


⑦아침, 저녁밥의 이르고 늦음을 보아 그 사람의 집안의 흥(興)하고 쇠(衰)함을 알 수 있느니라.


⑧혼인(婚姻)을 하는데 재물(財物)을 론(論)하는 것은 오랑캐의 할지시니라. <9.3매, 인물사진>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