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위원/ 여민동락 원장 영광신문 편집위원

 풀뿌리 마을이 살아야 농촌이 산다. 그래서 농촌살리기의 핵심은 마을만들기다.

 주민들의 자주성과 지역사회의 공생성을 복원시켜, 사람들 스스로 지역사회 문제를 풀어가게 하는 것이 주민자치이자 마을만들기의 본질이다.

 문제는 사람이다. 농촌사회 공적인 협동을 이끌어갈 자발적인 주체가 없다는 말이다.

 청년들이 모두 떠난 초고령 농촌에서 누가 협동의 전통을 복구하여 해체된 공동체를 되살릴 것인가? 결국,  해결의 실마리는 귀농․귀촌하는 사람들을 주목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농촌에서 마을 일을 할 젊은이들을 모실 과감한 정책과 환경이 필요한 이유다.

 가장 탁월한 귀농․귀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전북 진안군을 보라.

 귀농을 원하는 사람을 심사해 마을간사를 뽑고, 이들에게 봉급을 지급하면서 마을의 공동사업, 예를 들면 정부의 보조금 지원사업 관련 행정업무를 하도록 하고 있다. ‘주민들이나 군청으로서는 마을 공동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사람을 구해서 좋고, 귀농자로서는 행정 관청의 도움을 받아 쉽게 정착할 수 있어서 좋다’ 한다.

 또한 전남 최고의 ‘귀농 1번지’로 불리는 강진군은 어떤가. 귀농자 지원조례를 마련해 ‘강진군 귀농위원회’를 두고 귀농자유치, 고충처리 협의 및 귀농홍보, 귀농자 정착을 위한 컨설팅 지원 등 귀농자 지원 체계를 갖췄다. 얼마 전에는 귀농위원회를 모델로 한 귀어위원회까지 만들어 어민인구유치에 나서기까지 했다. 이런 노력으로 한 해 4,000명씩 감소하던 인구가 마침내 작년엔 43년 만에 증가세로 바뀌었다지 않는가.

 그러나 아직 영광군은 귀농․귀촌 활성화 지원 조례조차 없다. 귀농․귀촌 담당 전담인력 단 한 명도 없다. 자치법규정보시스템 '엘리스'(www.elis.go.kr)에서 '귀농'이라는 단어를 검색해보면, 귀농․귀촌 지원조례를 제정한 지자체가 무려 40곳이다. 2007년부터 시작해 2009년에만 무려 20곳의 지자체에서 조례제정을 했다. 상황이 이럴진대, 영광군이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제반 정책과 제도마련을 미룰 특별한 사정이 있는가.

 작년 한 해 귀농가구가 전국적으로 2천 가구에 육박할 만큼 급증세다. 올해부터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귀농 행렬은 향후 10년간 50여만 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 말 그대로 '귀농 전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일각에선 귀농․귀촌의 대이동이 현재 농촌의 인력난과 초고령화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까지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정도면 지자체가 저마다 왜 앞다투어 귀농상담센터를 열고 원스톱서비스를 하고 있는 까닭을 능히 알 수 있지 않겠는가. 과연 영광군의 준비는 얼마나 철저한가 차분히 짚어볼 문제다.

 주변에 농촌으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분들이 상당하다. 지역별로 순회하며 실정을 파악하러 다니는 경우도 있다. 3월 한 달만 해도 서울에서 3가구, 광주 1가구, 대전 1가구 합해 무려 5가구가 필자에게 영광의 실정을 문의한 바 있다. 그 중 몇 가정은 강진과 해남을 거쳐 4월 중에는 영광을 돌아볼 참이라 하니, 과연 무슨 내용으로 영광군을 귀농귀촌의 최적지라 설명할 수 있을까 고민이다.

 마을을 살리고 농촌을 살리는데 핵심은 ‘사람’이고, 그 ‘사람’의 증가는 정주민의 출산율을 높이든지 아니면 외부인구를 유치하든지 딱 두가지다.

 그래서다. 이제부터라도 귀농귀촌 외부인구 유입정책과 관련된 정교한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 군이 2020년 인구 10만 목표로 ‘인구 늘리기 T/F팀’까지 가동한다고 하지 않았는가. 남들 다 하는 기본적인 제도와 정책의 개선과 정비조차 없이, 어찌 미래 인구 10만시대 운운하겠는가.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