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희/ 영광경찰서 생활안전계

2011년 12월 학교폭력으로 인해 자살하는 학생들의 소식이 하나 둘씩 어른들의 귀에 들리기 시작했다. 이에 온 나라는 충격에 휩싸여 마음 아파하면서 심각한 우리네 학교 현실을 맞닥뜨리게 되었다.

그리고 각계 기관에서 소리 내어 하나같이 학교폭력을 뿌리 뽑겠다고 대책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바위에 부딪혀 산산이 부서지는 차가운 겨울바다의 파도처럼 아이들은 외롭게 떨고 있었고, 수없이 차갑게 부서지고 흐트러져 왔었던 것이리라.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줘야 할 학교라는 공간은 제 역할을 상실하고 일진들이 군림하는 정글이 되어버린 것이다. 언제부터였을까. 어쩔 수 없는 순리인 마냥 참고, 나홀로 속앓이하면서 그런 고통스런 공포의 나날을 보내고 있는 아이가 얼마나 많을까, 몇이나 될까. 도와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어른들은 아이들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부모가 합의하고 갈취 당한 돈을 배상해 주고, 또는 가해자를 형사처벌함으로 사건을 종결시키는 방식이 결국 아이들이 원하는 해결점이었을까. 마무리는 결국 어른들만의 방식일 뿐, 아이들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아이들에게는 학교가 가장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가장 위험한 곳이 되어버린 대한민국의 학교라는 곳. 부모와 학교에 도움을 요청해도 아무런 해결도 해주지 않아 좌절한 아이들, 일진이란 속박에 벗어나고 싶지만 두려움에 계속 같은 짓을 반복해야만 했던 아이들, 갈 곳 없고 의지할 곳 없어 자기네들끼리 똘똘 뭉쳐 왜곡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봐야만 버틸 수 있었던 소외된 아이들. 그 모두가 우리 아이들임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이기에, 그들이 피폐해져 감에 처절한 죄책감이 밀려온다. 정부는 아이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아이들이 학교를 주체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에게 학교문화를 바꾸고 해결하게 하는 힘을 심어줘야 한다. 어른들의 개입은 결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정부와 교육당국은 거시적 관점에서 공교육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