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근/ 언론인

“전환기를 맞는 대한민국의 선택은? 정치인은 표를 주는 국민을 위한 정책에 주력한다. 청년층보다 노년층의 투표율이 높다. 청년실업 보다 복지공약의 목소리가 높은 이유다. 적극적 투표가 정치를 바꾼다”

한반도 주변 정세와 세계 경제의 흐름이 만만치 않다. 현재의 3류 정치로는 대한민국이 불안하다. 성장기를 지나 안정기로 접어들 전환기에서 맞는 위기다. 발전의 역사를 지속적으로 써내려갈 정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정치 쇄신을 앞장서 이끌 대통령의 선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정치적 책임은 정치인에게 묻는 것이 보통이지만 뽑아준 국민에게도 있다. 특히 전환기의 지도자 선택은 수십 년간 나라의 역사를 좌우한다. 우리의 역사가 이를 증명한다.

제5대 대통령 선거는 우리 현대사의 흐름을 갈랐다. 박정희 대통령을 선택함으로써 30여년의 ‘비민주’ 역사를 썼다. 반세기(정확히는 49년)가 흐른 현재까지 그 그림자는 지워지지 않고 있다. 당시 호남 유권자의 약 60%가 박정희를 선택 했다. 전남에서만 28만5천여 표를 더얻은 박정희는 약25만 표차로 윤보선을 제칠 수 있었다. 박정희를 선택하고 호남이 얻은 것은 낙후와 차별이다.

이번 대선도 박정희와 노무현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틀로 진행되고 있다. 경제민주화와 정치쇄신, 새로운 나라를 외치면서 과거에 얽매인 선거전이라니…. 국민은 정치 쇄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안철수 현상’이다. 정치 쇄신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안철수가 후보를 사퇴하자마자 박정희와 노무현의 대결로 몰아가는 ‘코미디’가 황당하다. 박정희에 대한 향수를 자극해 당선되겠다는 박 후보 진영의 전략에 문 후보 진영이 휘말렸다.

선택 즉, 투표의 결과는 국민의 것이다. 정치쇄신도, 경제민주화도 국민 생활과 직결된다. 역사의 발전과 후퇴도 결정한다. 정권의 공과(功過)는 고스란히 나라와 국민의 것이다. 정치나 정치인의 것만이 아니다. 책임질 수 있는 선택을 해야 한다. 마음에 안 든다고 무관심해서도 안 된다. 최선이 없으면 차선이라도 선택하는 것이 나와 나라를 사랑하는 길이다. 후보들이 왜 복지 ‘타령’을 하는가를 생각하라. 60대 이상의 투표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생각은 안하는가.

지난 4월 총선에서 20대는 28.1%, 60대 이상은 65.5%의 투표율을 보였다. 정치인들이 정책의 초점을 어디에 맞추겠는가. 반값 등록금과 청년실업 해소를 원한다면 20대들이 투표를 해야 한다. 그들의 정치적 비중을 높여야 그들을 위한 정치 비중이 높아지지 않겠는가. 표를 먹고 사는 정치인들은 말로는 뭐라 하던 그들에게 표를 주는 유권자를 위한 정치를 할 수 밖에 없다. 모든 계층의 유권자가 적극적으로 투표하는 것이 정치의 질을 높이는 길이다.

국민의 정치쇄신 욕구는 역사상 어느 때보다 크다. ‘안철수 현상’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기존 정치인들이 겁을 먹고 쇄신을 약속 했다. 정치가 크게 바뀔 것으로 기대 했다. 그런데 현실은 부정적이다. ‘차떼기’의 이회창, 13번 당적을 바꾼 ‘대표 철새’ 이인제, DJ와 민주당에 기대 부와 권세를 누리던 한화갑 등 ‘배신자’ 들을 몽땅 쓸어 담은 박근혜 후보가 ‘박빙우세’다. 이들 구태 정치인들의 도움으로 당선된 대통령에 의한 정치쇄신은 과연 가능할까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정권교체를 위해 조국 교수와 황석영 등이 ‘국민연대’를 띄웠다. 문재인 지원을 언급한 안철수는 과연 어떤 행보를 할까. 며칠 안남은 대선 정국의 판세를 결정할 최대 변수로 꼽힌다. 국민연대와 안철수는 조만간 적극적 행동에 나설 것이다. 이보다 더 큰 변수는 투표율이다. 특히 야권 성향이 강한 20-30대 유권자들과 투표 시간 연장을 요구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투표율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