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영광종합병원이 정부 분만지원병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영광병원이 분만사업을 그만 둔지 3년 만인 내년 5월이면 영광에서도 분만이 가능해진다.

본지는 지난 20123이젠 영광서 아기도 못 낳을 판기사를 통해 영광지역의 유일한 영광병원 분만실 폐지가 검토 중이라고 보도하면서 아이 낳을 병원 하나 없는 곳에 누가 살러 올까라는 어느 귀촌 산모의 사례를 들어 문제를 지적했다.

당시 병원 측은 수익구조 보다는 분만 전문의 수급에 문제를 들며 어려움을 토로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영광병원 분만 실적은 2008164, 2009154, 2010137, 2011120건 등 영광지역 출생자 대비 분만은 29.3% 수준이었다.

70%의 산모들이 광주 같은 대도시로 나가서 출산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병원 측이 주장하는 전문의 수급 문제에 관심을 갖고 공보의 등 인력 충원이나 시설개선 사업을 지원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뒤돌아 온다.

특히 현금으로 퍼주는 출산정책보다는 지역병원과 연계한 활성화 전략을 추진했다면 분만실이 없어지는 사태는 막았을 것이란 일부의견도 들린다.

기업유치와 귀농·귀촌인 유치를 통해 인구 늘리기에 집중하겠다던 영광군이 정작 사회적 문제에 손을 놓고 있는 동안 20124월 유일한 분만실은 그렇게 문을 닫았다.

정부가 2011년부터 분만병원 지원 사업을 시작했지만 군은 분만실이 문을 닫은 1년 뒤인 20133월과 2년 뒤인 201432차례나 사업신청을 포기했다.

과다한 예산지원과 대부분 광주 등으로 나가서 실효성이 없다는 게 이유였지만 정치적인 판단이 크게 작용했다는 지적에는 군민들이 공감하는 분위기이다.

반면, 민선 6기 김준성 군수가 취임하자 올 9월 정부의 추가 공모사업에 군은 제대로 된 검토도 없이 기독병원과 영광병원을 심사해 이중 영광병원으로 응모해 지난 2일 선정됐다.

그러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급변하는 행정집행 태도에 군민들은 씁쓸해 하고 있다.

이면엔 영광병원 측의 행태도 나타난다. 정부가 2011년 분만병원이 없는 곳에 보조금을 주는 사업을 시작하자 1년 뒤 30여년간의 분만업무를 접은 뒤, 1년도 안되어 군에 정부 분만병원 지원사업을 신청했던 경우 등이다. 보조금 때문에 지역 산모들을 외면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병원 측은 전문의 수급 문제로 일축하고 있다.

여하튼 영광병원은 장비비 10억원과 매년 운영비 5억원을 지원받아 분만업무를 재개해 산모들의 불편을 해소하게 됐다. 이제는 출산정책을 재검토하고 지역 공공의료 기능을 강화하는데 힘을 쏟아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