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 백수 출신/광주교육대 교수/ 철학박사

권력자 앞에서도 당당하게--맹자(4)

맹자는 성선설을 통하여 동물과 인간을 구별함으로써, 인간의 지위를 드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나아가 그는 성선설에 기초하여 인의의 도덕정치, 이른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주장함으로써 정치사상가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기도 하였다. 왕도정치는 인의(仁義)에 바탕을 둔 정치이다. 그런데 어질고 의로운 정치를 펴나가기 위해서는 통치자, 즉 나라의 최고책임자라 할 수 있는 천자(天子)가 백성들의 신망을 받는 덕스러운 사람이어야 한다.

하늘의 아들이란 의미를 갖고 있는 천자는 고대 중국에서 천하 만민을 다스리는 통치자로 간주되어 왔다. 그 때문에 천자는 오직 한 사람뿐이며, 하늘로부터 위탁받은 숭고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인(賢人)의 도움을 빌려 백성에게 질서와 평화를 누리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맹자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통치자는 백성들의 신뢰를 받는 현자 가운데서, 선거에 의해서가 아니라 선양(禪讓-임금이 다음 임금이 될 사람에게 왕의 자리를 물려 줌)에 의하여 추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실 왕이 자신의 아들을 왕으로 다시 세우는 세습제도나 오늘날 보는 것처럼, 국민들이 선거를 통해 지도자를 뽑는 방식이나 모두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백성들의 마음을 상하게 하거나 왜곡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덕스러운 사람을 추대하여 왕으로 모시도록 하는 방식이 훨씬 바람직스럽다고 맹자는 본 것 같다. 어떻든 그렇게 하여 추대된 통치자는 자기 자신의 행복이 아니라, 국민의 안녕과 복지를 위해 온힘을 쏟아야 한다.

그럼에도 만일 막강한 힘을 가진 군주가 중대한 잘못을 저지를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때에는 당연히 백성들이 이의(異議)를 제기할 수 있으며, 이에 귀를 기울이지 않을 때는 다른 군주를 모셔올 수도 있다. 군주로서의 의무를 게을리 하여 백성들의 마음에서 멀어진 자는 왕위를 물러나게 해야 하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심지어 살해되어도 좋다. 폭압정치를 펴며 타락한 모습을 보이는 임금은 이미 임금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설령 그를 퇴위시키거나 죽인다 한들 신하된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다. 이처럼 과격한 주장 때문에 맹자의 초상화와 글이 문묘(文廟-공자를 모신 사당)에서 제거된 일도 있었다. , 역대의 왕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흔들 수 있는 정치사상에 동조할 수 없었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은 오늘날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면이 많다.

맹자는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에게서 정통적인 유학을 배웠는데, 이 자사로 말할 것 같으면 효성이 지극하기로 유명한 증자(曾子)의 제자이다. 증자는 어렸을 적 참외줄기를 상하게 했다는 이유로 아버지로부터 작대기로 맞아 실신했음에도 불구하고, 깨어나는 즉시 사과하고 곧바로 명랑하게 노래를 불렀을 정도로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정통 유학자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맹자는 그 스스로도 수많은 제자들과 더불어 여러 나라를 주유(周遊-두루 다님)하며 유가의 이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가 수백 명의 제자와 함께 수십 대의 수레를 이끌고 이동할 때는 일대장관을 이루었으며, 용기가 있고 기질이 강했던 그는 여러 왕들에게 이상 정치를 실시하도록 강력히 권하였다. 또한 그 자신 마흔 살을 전후로 하여 추()나라의 벼슬길에 오르기도 하였다. 그러나 혼란한 세태에 실망한 채, 곧 물러나고 말았다.

공자가 주로 교육의 대상으로 삼은 사람들은 제자들이었다. 이에 반해, 맹자는 군왕(君王)이나 권력자, 귀족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맹자가 그들에게 가르친 방법은 아첨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예지와 용기에 의한 것이었다. 그는 많은 군주들 앞에서도 당당했고, 막강한 힘을 가진 그들은 도리어 맹자 앞에서 쩔쩔 매는 모습을 연출했다. 오늘날 권력자 앞에서 당당할 수 있는 지식인이 얼마나 될까?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