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희/ 영광농업대학 농삼회장

최근 농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 사후 봉사체계를 서둘러 정비해야 한다는 농민들의 한결같은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사후 봉사인력이 많이 부족한데다 수리인력의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전반적으로 농가가 농기계 수리에 너나없이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판매자가 도맡아시피한 농기계 사후관리책임도 제조업체등 공급자와 공동으로 분담하는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선진적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한편 농진청발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농기계 사후관리업소의 정비 인력은 5,500여명으로 적정인원 6,700여명보다 22%1,200여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같은 수리인력 부족현상은 농기계 사후봉사와 관련해 기능인력 대부분을 공급하던 농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이 급감한게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되고 있다. 사실 20004,672명이던 농업계 고등학교 농기계 관련학과 졸업생은 2016년에는 1,068명으로 무려 77%가 줄었다는 통계로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농산업분야로 진출하는 학생이 거의 없는 점도 농기계 정비인력 부족현상을 가중시키고 있는 상황에서 농고 졸업자의 농산업계 진출 비율은 전체의 1.5%, 농대는 7.5%에 불과하다는 통계 역시 수리인력 확보에 커다란 문제점을 던져주고 있다. 그러면서 관련학과를 나와도 경운기, 트렉터, 관리기등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이 별로 없을 정도로 교육과정과 현장이 너무 동떨어져 농기계사용 가능한 인력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더욱이 수리인력 고령화로 인한 현장에서의 수리기사의 전문성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현상도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농기계는 갈수록 고도의 기술화, 첨단정보화 돼 가는데 수리인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고 특히 수리기사들의 전자제어시스템에 대한 이해부족이 농기계를 고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이들의 한결같은 하소연도 귀기울여 들어봄직하다. 이 때문에 전문인력 양성과 수급을 위해 해당기관의 적극적인 교육체계 정비와 구상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농기계와 관련된 교육기관이나 농협, 농진청, 제조 및 판매업체등이 인력과 시설자원을 공유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협력체계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강조하는 바이다. 그런데 현행 농업기계화 촉진법상 농기계를 판매하는 자가 사후 관리 책임을 지게돼있다. 공급자 (제조업체, 수입업자)가 아닌 판매자가 수리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유통업체 관계자들은 예전에는 농기계를 판매할 때 판매, 수리, 수수료 명목으로 각각 마진을 설정해 수리부담을 보전해 줬지만 지금은 포괄적 수수료로 변경돼 판매자가 수리비용 부담을 전담하고 있다.”면서 불만섞인 목소리의 톤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또 다른 관계자의 주장에 따르면 통상 2년인 무상수리 보증기간 중에도 부품교체비나 수리기사의 공임을 제조업체가 사실상 외면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관계당국과 제도의 모순을 꼬집는 불만의 목소리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상황인데 이와 관련해 농림식품부는 농기계 판매와 사후 수리봉사를 이원화해 유통체계를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두고 볼 일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