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희/ 영광군 농업대학 농삼회장

노루, 고라니, 맷돼지, 야생동물로 인한 각종 농작물의 피해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해 졌다. 야생 동물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농작물 피해도 눈동이처럼 덩달아 커지고 있다.

수확철이 지났어도 들에 가보면 실망과 한숨만 나오고 좌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난 해 가뭄과 폭우, 그리고 무더위를 이겨내고 정성껏 재배한 농작물이 노루나 고라니, 멧돼지 등 야생동물이 망쳐놓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경우 우리밭 바로 옆에 10여년전 외지사람이 밭을 임대하여 소나무를 심어 잘 기르더니 최근 몇년사이 소나무가 전혀 팔리지 않자 이를 관리하지도 않고 방치해둔 실정이라 우거진 소나무밭이 각종 산 짐승이 서식하므로 참깨를 제외한 콩, , 녹두, 고구마, 당근등 농작물을 뒤지기고, 파먹고, 잘라 먹어서 아예 수확할게 없는 상황이 돼버렸다. 참으로 안타깝고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무엇보다 야생동물 개체수 증가는 결국 포획수 증가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야생동물 포획수는 201417만여 마리에서 2016년엔 25만여마리로 늘었다고 한다. 아울러 환경부는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피해 액을 20151067천여만원, 2016년엔 1092천만원으로 집계했지만 실제 피해액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는게 농업계의 주장이다. 특히 산간지역은 농사를 지어 얻는 것이 없을 만큼 피해가 심각하다고 한다. 특히 유해 야생동물은 이제는 공공의적이 됐는데 그도그럴것이 사람의 생명까지를 위협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기 울타리와 그물망 설치, 담장은 물론 폭죽, 은색테이프등 온갖 퇴치기구를 동원해도 큰 효과를 볼수없다는게 농민들의 하소연이다. 그래서 환경부는 야생동물 피해 대책 예산을 2012-2016년까지 연간 33억원에서 올해 50억원으로 늘려 피해 예방시설에 나섰지만 이 정도로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환경부가 야생동물 보호에 치중하는데 비해 농작물 피해를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우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야생동물 피해 대책 예산을 대폭 늘리고 또 지역 실정에 알맞은 시설로 농가의 피해를 막아야 함은 물론, 그 피해 보상액도 구체적이면서 현실에 맞게 반드시 개선해야한다. 이는 환경부만으로는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범정부 차원의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무엇보다 농작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유해 야생동물의 개체수 조절등 근본적이고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더욱이 자체에 야생동물 피해 대책 업무를 농림축산식품부로 이관하는 문제역시 신중히 검토해볼만한 사안이라고 주장 한다. 그러기에 일본은 농림수산성이 농작물등 피해 집계와 그 예방대책을 전담하고 환경성이 야생동물의 종류와 개체수 조절, 보호 및 보전등을 맡고 있는 점을 충분히 참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