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4호기 빈공간 문제 6개호기 전면조사 필요

민변·환경단체 등 망치나온 원전 국민감사 청구

<> 원전 격납건물 내부철판 및 콘크리트에 빈공간이 있는지 확대 검사 중 최대 수천 곳에 이를 수 있는 구조적 결함이 발견됐었다. 원전 사고에 대비한 5중 방어막 중 마지막 보루인 두께 1.2m의 격납건물 콘크리트 안쪽에서 최대 가로 36cm, 세로 17cm, 깊이 8cm 크기의 빈공간이 발견됐다. 격납건물 내부철판 뒤쪽에 가로로 설치한 70~80cm 크기의 ‘L’자형 보강재 아래 철판 10곳을 잘라본 결과 6곳이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았다. 원전 1개 호기당 3,000여개의 보강재를 설치한 점을 감안하면 60%만 잡아도 2,000여 곳에 달한다. 원전 측 관계자도 1,200여 곳은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샘플을 자른 크기가 보강재 전체보다 작기 때문에 실제 보강재 크기대로 잘라낼 경우 빈공간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새로 방향으로 설치한 수천개의 수직 보강재(앵글) 연결 부위 검증 강화도 필요하다.

특히, 고리원전 3·4호기에서 과도한 그라인딩으로 두께불량 내부철판이 4,256곳에 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기와 공법이 유사한 한빛원전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면 한빛원전 전체 호기에 대한 격납건물 보강재 부위 콘크리트 빈공간과 내부 불량철판 문제 등을 전면적으로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다. 이미 한빛원전민관합동조사단이 콘크리트, 내부철판, 증기발생기, 제도개선 등 4개 분과별 특성을 고려해 외부 전문가를 통해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전면조사는 한계다. 상부돔의 경우 기술적 한계로 접근이 어렵고, 내부에 설치된 기기들을 모두 제거하지 않는 이상 내부철판과 그 뒷면 콘크리트 전체 면을 조사하기는 불가능하다. 이정도 규모는 원전을 해체하는 수준으로 수년의 기간과 천문학적 비용이 소요돼 차라리 폐로하는 편이 낫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때문인지 일부 원전 측에서는 두께 120cm 콘크리트 중 8cm(6.6%) 깊이 구멍은 안전성에 문제가 되질 않는다는 주장이 나온다. 조사와 보수범위 등을 놓고 논란이 거세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광주YMCA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광주전남지부, 핵없는세상광주전남행동은 증기발생기 안에서 망치 등 금속물질이 나온 문제와 관련 한빛원전 3·4호기에 대해 지난달 25일 국민감사를 청구키로 했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