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조사단 정부 측에, 폐로냐 보수냐 기로

<>한빛원전 격납건물 내부 콘크리트에 수천여개의 빈구멍이 의심되는 가운데 민관합동조사단이 정부에 전면조사를 요구했다. 최악의 경우 폐로까지 검토해야 하는 현 상황을 짚어본다.

한빛원전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1일 오후 4시 영광군청에서 열린 실무위원회의에서 산업부 등 정부 측에 한빛 4호기 격납건물 보강재 하단 빈구멍 문제를 전체 원전으로 확대하고 내부철판 뒤편 전체 면적 조사를 요구했다. 조사단은 6월중 전체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문제 등 향후 방향을 논의하고 한빛원전 등의 의견을 청취할 방침이다.

현재 한빛 4호기의 경우 15단 높이 중 접근이 가능한 1~7단까지만 내부 콘크리트 보강재 하부를 검사해서 이중 샘플 10개를 잘라본 결과 6곳에서 빈구멍이 나왔다. ‘형 보강재 구조상 하부 콘크리트 다짐이 부족할 경우 빈구멍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보강재는 4호기에만 3,100여개에 달한다. 이 비율을 적용할 경우 빈구멍이 수천개에 달수 있다. 아직 규제기관 등의 확대검사가 마무리되질 않은 상황이지만 검사 범위를 두고 논란의 소지가 다분하다.

조사단이 요구한 전면조사는 격납건물 내부철판과 뒤편 콘크리트 전체 검사를 의미한다. 지난해 상부 15단에서 발생한 철판부식 관통 및 콘크리트 구멍은 아직 원인도 명확하질 않다. 그런데 안전하다던 하단부가 철판부식은 뒷면 콘크리트 구멍이라는 공식까지 깨졌다. 고리 3·4호기에선 과도한 그라인딩으로 두께불량 내부철판이 4,256곳에 달하면서 전체 철판과 뒷면 콘크리트의 안전성에 의문이 일고 있는 이유이다. 또한, 한 단계 낮은 전수검사만 해도 보강재는 3,100곳에 설치됐지만 배관 등 내부기기가 설치된 곳은 접근 자체가 어렵다는 게 원전 측 입장이다. 때려서 소리를 듣고 빈공간을 찾는 타음방식 전수검사를 하더라도 문제가 되는 곳을 잘라내 보수하는 것은 장비 진입 때문에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원전 측은 전면 또는 전수조사를 통한 전체 보수는 구조적으로 어려워 폐로 수준에 가깝다는 상황이다. 일부 조사 후 일부만 보수하고 재가동하는 경우 역시 안전성 문제를 넘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