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형진/ 영광군청소년상담센터소장

무관심에서 관심으로, 관심에서 참여로

연간 조단위에 육박하는 예산을 총괄하면서 관리 인원이 수십만명에 달하는 정부 기관이 있다.

그리고, 그 정부 기관의 수장인 선출직이다.

또한 이런 수장을 뽑는 선거비용으로 전국적으로 수백억의 예산이 쓰여진다.

하지만 해당 기관의 선출직 투표율은 고작 1~20%에 불과 하며 선거에 참여한 사람도 도대체 내가 찍은 사람이 누구인지 모르는 사람이 과반수를 넘는 이상한 깜깜이 선거이다.

바로 교육감 선거를 두고 요즘 나오는 핫한 이슈이다.

왜 교육감 선거가 유권자들에게 외면을 받게 될까?

교육에 관심있는 학부모가 아니고서는 각자의 삶과 별개의 문제인 교육에 관심이 적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렇다면 그 교육에 관심도 없는 다수의 유권자들에게 투표를 하게 한 이유는 무엇일까?

2006년부터 지방교육자치법이 만들어지면서 교육자치를 표방한 대표 정책으로 교육감 직선제가 시행된 것이다.

하지만 선거를 한다고 해서 모두의 관심을 끌 수 없다는 것은 지난 선거들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그렇다면 우리 어른들은 과연 교육감 선거의 당사자가 될수 없는 것일까?

아니면 당사자라는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한 것인가?

필자는 이번달 벌어지는 지방선거에서 7번의 도장을 찍어야 하고, 그중 6개의 도장의 주인은 마음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교육에 직접적인 일을 하고 있음에도 마지막 7번째 도장을 찍어야 하는 교육감선거의 후보 이름도 모르고 있다.

어쩌면 교육감 선거의 문제는 투표 당사자의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 대통령을 뽑고, 도민은 도지사를 뽑는다.

군민은 군수를 뽑고, 청소년은 아무도 뽑지 않는다. 청소년은 청소년의 삶에서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교육에 대해서 당사자가 아니다.

단지 시스템에 순응하여 지시받거나, 전혀 모르는 내용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이 무엇인지도 모른체 경쟁을 이겨내야 하는 일방적인 삶을 요구받고 있다.

그들의 교육에 대해, 그들의 삶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나누는 과정이 전혀 없이 학부모들과 일부정치인, 교육감 선거에 나서는 사람들의 일방적인 결정에 아무말도 하지 못하고 자신의 삶을 맡길 수밖에 없다.

그렇게 주변인으로 키워진 그들이 과연 이 사회의 당사자가 되어 주인의식이라는 것을 배울수나 있을까?

여기서 갑자기 생각나는 헌장이 있다. 바로 청소년 헌장이다.

청소년은 자기 삶의 주인이다.

청소년은 인격체로서 존중받을 권리와 시민으로서 미래를 열어 갈 권리를 가진다.

청소년은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하며 활동하는 삶의 주체로서 자율과 참여의 기회를 누린다.

청소년은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며 정의로운 공동체의 성원으로

책임 있는 삶을 살아간다.

가정, 학교, 사회 그리고 국가는 위의 정신에 따라 청소년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고 청소년 스스로 행복을 가꾸며 살아갈 수 있도록 여건과 환경을 조성한다.

자기 삶의 주인이 되려면, 자신의 일을 결정할수 있어야 한다.

청소년이 정치에 참여해야 우리나라의 정치참여의 격이 장기적인 발전을 하며 성장하리라고 필자는 믿는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