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희/ 전 홍농농협 조합장

최근 청년농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청년실업률이 점차 높이지고 일자리 찾기는 점점 어려워지면서 농업과 농촌으로 눈을 돌리는 경향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들 스스로도 농업과 농촌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으려는 시도를 늘리고 있는 분위기다

정부도 이에 발맞춰 2022년까지 청년농 10만명을 육성하겠다는 야심찬 대책을 내놓고 파격적인 지원을 추진중이고 농협 역시 청년농을 위한 기술지원부터 창업지원, 그리고 농산물 판로확보까지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 상황이다.

이같은 관심과 지원은 앞으로 우리의 농업농촌이 청년농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농가 경영주의 평균 연령은 67세이고 70세 이상 경영주 역시 전체의 41.9%나 된다고한다 이는 고령농이 곧 은퇴하게 되면 그 빈자리를 청년농이 메꾸고 아울러 청년농들이 농업농촌을 이끌어 가야한다는 결론이다.

더욱이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가능성이 젊은층에 열려있는 셈이기도 하다. 지난번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이 조사한󰡐청년농 실태조사󰡑결과도 이를 증명해주고 있다. 특히 조사에 참여한 청년농 가운데 절반수준(49%)이 농업을 선택한 이유로 󰡐농업의 비전과 발전 가능성을 보고󰡑라고 응답했다고 한다. 또 청년농의 70%는 향후 농업소득으로 생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리라고 내다봤다 실제 통계청 조사결과를 보면 30대 농업소득이 평균 농가소득보다 두배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농 정착초기에는 소득이 불안정 했지만 영농이 본격화하면서 소득도 높아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청년농들에게 과제가 없는 건 아니다. 한국갤럽의 설문에서 청년농들은 자금과 노동력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고 답했다 우선 생활여건이 불편하고 기존 마을사람들과의 인간적관계 형성에 나름대로 고민이 많다고도 했다 이같은 문제들을 무난히 해결하는 것이 곧 청년농들을 늘리고 또 경쟁력 있는 농가를 육성하는 길이 될 것이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정부의 청년농 지원방식에 선진적 변화가 필요하다 또 지방자치단체도 청년농 육성계획을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청년농 연착륙을 돕는 단계별 현장밀착 지원방식을 서둘러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