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 8·새싹 2곳 수확단계까지 중간조직 시급

10여년 뒤늦은 만큼 제대로 준비해 추진해야

영광군이 뒤늦게나마 마을공동체 사업에 발을 들였다. 최근 전국적인 인구 감소로 앞으로 10~30년 이내에 농촌지역 마을은 물론 영광군 등 상당 수 지자체가 소멸될 것이란 연구 결과에 우려가 커지는 시점이기도 하다.

전북 진안군 등 일부 지자체들이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마을만들기에 집중하던 시기 전남도 및 영광군 등은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 본지 역시 10여년 전부터 마을만들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대안을 제시해 왔었다. 하지만, 행정이나 정치인들의 관심은 낮았고 추진 동력조차 마련치 못하다가 소멸 위험지역 경고에 본격적으로 나선 셈이다.

다소 늦기는 했지만 최근 대안으로 추진한 사업 중 하나가 바로 마을공동체 사업이다. 명칭은 변경됐지만 의미는 같다. 주민들이 마을공동체에 관심을 갖고 공동체를 구성하여 마을에 필요한 사업을 제안하면 행정이 이를 지원하는 구조다. 하향식 사업이 아니라 상향식이란 의미다. 자치역량 강화 및 공동체 의식을 높여 주민이 주도하는 마을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인 셈이다. 전라남도 차원에 추진된 이 사업은 공모방식을 통해 마을공동체를 씨앗(형성, 1) 새싹(활성화, 1) 열매(고도화, 12) 수확(자립) 등 총 4단계로 육성한다.

이에 영광군은 전남도 2019년 마을공동체 활동지원 공모사업에 응모해 씨앗 8개소, 새싹 2개소 등 총 10개소가 최종 선정됐다고 지난 6일 밝혔다. 마을활력증진과 주민자치실현을 목적으로 사업제안부터 계획 수립, 실행, 사후관리 등 전 과정을 주민 주도로 진행하는 이 사업에 전남지역 22개 시군에서 255개 공동체가 신청했을 정도다. 문제는 이들 작은 씨앗이 열매를 맺어 수확에 이르기까지 지원할 중간 조직이 필요하다. 이미 영광보다 10년 넘게 선행한 진안군은 마을마다 작은 사업으로 몇 단계의 훈련을 거친 뒤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그 핵심에는 주민과 행정의 간극을 줄이며 자립을 지원하는 중간조직을 육성했다. 이제 걸음마 단계의 영광 마을공동체 사업 성공이 지역소멸과 직결된다는 인식 전환과 관심이 필요한 시기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