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성 군수가 지난 5일 박원순 서울시장을 만나 영광군 특산품 물류센터 건립을 위해 시유지 제공을 요청했다. 이는 한빛원전 지역상생사업으로 결정된 농축산물 판매 수도권 거점센터 구축사업에 필요한 부지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거점센터가 아닌 물류센터로 용어가 추가되었는지 의문이다.

한빛원전 상생사업은 2015년 한빛원전이 영광군에 제안했다. 이는 앞으로 추진할 고준위폐기물처분장에 대한 보상 차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큰 논란을 불러 왔다.

군과 군의회가 방향을 잡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면서 많은 시간을 허비하자, 20163월 본지와 영광군번영회가 나서 한빛원전 지역 상생사업 군민토론회를 개최해 지역민의 의견을 수집했다. 그 결과 공장용지와 기숙사 등 부대·편의시설(500)’20여건의 사업들을 정리하여 군과 군의회에 건의했다. 그해 5월에 영광군은 한수원에 대학 등 교육기관 설립과 기업유치(500) 900억 규모의 3가지 사업을 요구했다.

한수원은 20개월이 지난 201712월에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250) 농수축산물 수도권 거점센터(100) 온배수 이용사업 저감대책(100) 450억원을 밝혔다.

군이 추진한 초당대 항공대학 캠퍼스 유치는 소음피해 등 대마면민들의 반대로 물 건너간 현실이다. 군은 지난 9일 지역상생사업 추진 TF팀을 재구성해 회의를 열고 사업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항공대캠퍼스는 대마면에서 염산면으로 방향을 바꾸고 농산물거점물류센터는 200억 규모로 확대되었다. 한심하고 답답한 노릇이다. 항공대캠퍼스 유치는 물론 농산물거점물류센터는 97년의 서울직판장의 오류를 재현하고 있다.

지난 975·6호기 특별지원사업비 487억원의 사용처 논의를 시작해 98년 서울 서초동에 직판장 부지 2,291평을 구입했으나 허송세월만 보내고 2002년 매각했다. 이후 골프장 건설을 추진했으나 또다시 백지화된 후 2003년 종합체육시설로 변경 추진되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는 지역에 배정된 예산을 왜 서울등지에 투자하느냐는 것이다.

지역경제도 어려운데 지역경제도 살리고 인구수도 늘릴 수 있는 사업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상생사업에 대한 전체적인 재검토는 물론 지역 여론을 다시 한 번 더 신중하게 모아야 한다. 상생사업을 헛되이 집행해서는 후폭풍에 직면하게 될 것이란 우려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