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농기계 사용 안하기 해외연수 중단 등

사무기기·농기계 등 소비시장 잠식은 현실

지역단체를 주축으로 ‘NO 재팬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한농연영광군연합회는 영광읍 농업회관 건물을 비롯해 시내 주요 회전교차와 만남의 광장 등에 일본 농기계, 사지도 말고, 쓰지도 말자!’는 문구와 동참을 촉구하는 내용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전국이통장연합회를 비롯해 농관관련 마트 역시 일본 제품을 빼는 등 불매운동에 동참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영광군 역시 매년 일본으로 다녀오던 하반기(9월경) 농업인 해외선진지 견학을 잠정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해외 벤치마킹이나 업무상 출장, 교류 행사 등을 주관하는 부서 역시 하반기 일본으로 일정은 없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군은 파프리카 등 농산물 및 주요식품의 일본 수출 관련한 피해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 서대문구를 주축으로 결성된 일본수출규제 공동대응 지방정부연합에 참여한 기초지자체가 지난 5일 현재 영광군을 포함해 전국 138곳으로 집계돼 빠른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우리나라를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일본의 수출규제 경제보복 조치를 규탄하며 일본제 사무용품 회수 및 불매운동, 여행 보이콧, 구매 또는 임대(조달, 수의계약, 용역임차 등) 품목의 일본산 거래 중단, 공무상 일본 방문은 물론 자매결연활동 중단 등을 행동키로 했다. 다만, 현실적인 문제도 적지 않다. 군은 보조사업으로 구매하는 소규모 농기계 지원사업의 경우 대부분 국내 제품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하지만, 농기계임대사업소에서 보유중인 주요 농기계의 경우 일본제 브랜드는 10~20% 수준이지만 일본산 부품이 들어간 제품은 거의 절반을 육박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인들이 구입하는 농기계역시 국내 브랜드도 있지만 일본산 브랜드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어 불매운동은 곧 지역 대리점주 피해로 이어진다. 행정에서 사용하는 사무기기의 경우도 컴퓨터는 대부분이 국산 제품이지만 복사기와 프린터 등은 일본 브랜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농촌지역 소비시장까지 일본제품이 잠식하고 있어 대체품 마련이 시급하단 지적이다.

한편, 일부 농업인조합 마트에서 일본 생활용품 판매코너를 운영한다는 지적에 확인결과 상품표기는 일본어, 생산지는 중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