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희(여민동락공동체 살림꾼)

한 아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2학년. 좀체로 학교에 적응을 잘 못하고 아이들에게도 놀림을 당하기 일쑤다. 산만하고 집중을 못하는 아이를 데리고 엄마는 병원을 전전하며 해결책을 찾으려 애쓴다. 문제가 생길때마다 "죄송하다"고 고개 숙여야 하는 엄마의 심정이란 말로 못할 고통이다. 그나마 엄마는 동네 보습학원 선생님으로부터 위안을 받았다. 일대일 맞춤형 학습을 표방하는 학원인지라 아이를 '특별관리'해 주는 듯했다. 하지만 교사들은 ADHD에 관해 잘 모르긴 마찬가지였고 특별히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몇 년 전 잠깐 학원 교사로 일할 때 겪었던 일이다. 그 아이, 지금쯤 아마 중학생이 되었을 것이다. ADHD라고 의심받았던 증상들은 좀 나아졌을까. 이제 소개하려는 책 <ADHD는 없다>의 저자 김경림씨는 평범한 주부다. 바쁜 직장생활 때문에 아이를 친척집에 맡겨 놓고 생활에 쫓기던 때, 아이가 난데없이 ADHD 진단을 받으면서 충격에 빠졌다. 그는 내 아이가 남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안간힘을 썼지만 그럴수록 아이와 엄마가 모두 힘들어질 뿐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때부터 ADHD에 관해 직접 자료를 찾고 의사와 교사의 말에 맹목적으로 휘둘리지 않기 위해 공부에 매달렸다. 그 결과 ADHD는 정신질환이 아니라 남들과는 조금 다른 아이의 귀중하고 특별한 재능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줄임말이다. 부모들은 보통 학교 선생님으로부터 아이가 산만하고 이상하다는 말을 듣고 ADHD 검사를 권유받는다. 그런데 그 검사라는게 문제다. ADHD 판정을 위한 객관적이고 의학적인 검사도구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런 것은 없다. 오직 부모와 교사의 의견을 참조한 의사의 판단만이 있을 뿐이다. 실제로 미국 소아과학회(APP)가 발간한 'ADHD 진료 지침서'에는 '어떠한 검사실 검사도 ADHD 유무를 밝혀낼 수는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부모들은 어째서 그렇게 쉽게 'ADHD 검사'라는 것을 신뢰하고 아이의 뇌에 무슨 문제가 있는 것처럼 믿게 되는 것일까? 의사들은 미국 소아과학회(APP)에서 발간한 '정신장애 진단과 통계 편람'에 명시된 ADHD 진단 기준을 적용한다. 18가지 정도 되는 질문에 '전혀', '가끔', '자주', '매우 자주'로 답변하면 결과를 합산해, '부주의 우세형''과잉행동, 충동성 우세형'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18개의 질문이라는 것이 대개 아이들의 일상행동과 관련된 것들이다. 예를 들어 '지시사항을 따르지 않아서 일을 그르치거나 활동을 끝마치지 못한다', '매일 해야 하는 일상적인 일들을 잊어 버린다', '조용한 활동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한다' 등이다. 이런 질문들에 '자주' 혹은 '매우 자주'가 많이 나올수록 ADHD 판정을 받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런 행동은 아이들의 지극히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행동일 뿐만 아니라, 아이의 환경과 그날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답변 내용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도 '뇌 질환'으로 여겨지는 ADHD 판정을 받게 되면 대부분은 약물치료를 받는다. 처방받는 약은 '원인을 치료하는 약'이 아니라 '증상을 조절하는 약'이다. 게다가 이 약은 생물학적 욕구를 가라앉히는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무기력, 불면증, 메스꺼움, 식욕감퇴, 두통 등과 같은 부작용을 동반한다. ADHD 판정을 받은 아이들은 이런 약을 보통 수년동안 매일 복용해야 한다. 중독성 강한 약물에 노출된 아이가 겪게 되는 변화는 불을 보듯 뻔하다. 환자에다 문제아로 낙인찍인 아이들이 겪는 패배감과 피해의식은 좀비처럼 문제 해결을 위한 모든 시도들을 잡아먹는다. 규칙과 통제에 익숙한 학교 시스템의 편의성과 효율성, 권위와 경직성은 아이들의 재능을 올바로 분별하는 대신 아이들을 획일적으로 재단하는데 급급하다. 학교와 사회의 편견, '문제아'라는 낙인이 아이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을 거세하고 스스로를 부정하게 함으로써 오히려 아이를 고통속으로 밀어넣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성찰이 필요하다.

만약에 내 아이가 ADHD 판정을 받는다면? 부모는 무너질 것이다. 그리고 공포에 사로 잡힐 것이다. ADHD 판정 앞에서 부모가 당황하고 절망하는 것은 어쩌면 이 병의 실체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이 아닐까? 부모의 교육 철학은 자신의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아이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아이의 자아 존중감과 자기 효능감을 키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놓치지 않는다면 ADHD의 위험으로부터 충분히 아이를 지켜낼 수 있다. 평범한 엄마 김경림씨의 결론은 간단하다. 단언컨대 ADHD는 없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