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원자력발전소에는 6기의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다. 1986년 8월 원전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하면서 영광에서의 원전시대가 시작되었다.

이어 87년 6월에 2호기가 가동하면서 원전을 둘러싼 무뇌아 의혹과 갖가지 문제들이 나타나 영광을 살릴 것으로 기대했던 원전에 대한 의구심이 돌출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3·4호기가 건설되고 1995년에 5·6호기 건설문제가 본격화되면서 원전 문제의 일방통행에 지역민들의 반발이 최고조에 이르기도 했다.

이에 지난 2000년경 원전을 반대하는 사회단체들이 앞장서서 원전안전 문제에 대한 주민참여 방안으로 구성한 게 ‘영광원자력발전소민간환경·안전감시기구’이다.

관련 조례에는 ‘건설·운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영향 및 안전 활동을 감시하기 위하여 민간 환경·안전감시기구를 설치하고 그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되었다.

그러나 주민들의 안전을 책임지고 일해야 할 감시센터가 안전보다는 자리 지키기 기구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8일 정기호 군수가 고리원전 비상발전기 고장 은폐사건 이후 실시되고 있는 특별점검 현장을 찾은 결과 영광원전 2호기 비상발전기(A)는 가동되질 않았다. 군과 감시센터는 그 사실을 알고도 수일간 이를 은폐했다는 의혹이 짙다. 특히 감시기구가 고리원전 비상발전기 사태이후 영광원전 특별점검이 진행되는데도 공식적 참관을 거부한 뒤 우연찮게 이 같은 일이 발생했다.

최근 이러한 내용이 알려지면서 감시기구의 존폐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반핵 측이 감시기구가 지난 2000년 운영을 시작한 이래 지역과 주민들을 위한 활동보다는 군과 원전을 위한 기구로 전락했다며 해체를 주장하는 이유다.

특히 군수가 당연직 위원장으로 정해져 있어 주민을 위한 활동보다는 군의 비위를 맞추는 선에서 적당함의 극치를 보이고 있으므로 전면적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그렇다. 군과 원전의 눈치만 보는 감시기구라면 차라리 해체해 예산이라도 절약해야한다. 꼭 필요하다면 관의 지배를 벗어나 독립성이 보장된 주민 위주의 감시기구로 환골 탈퇴해야 그 기능을 회복할 것이다.

군의회도 원전특위를 가동하여 이번 은폐 사건에 대한 전모를 파악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고리원전 비상발전기 고장 은폐사건을 보고서도 영광원전 비상발전기 고장을 은폐했다면 안전 불감증의 심각성을 바로 잡아야 한다.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참혹함을 똑똑히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