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희/ 전 홍농농협 조합장

지난 2019년에 농가소득이 2018년보다 2%정도 줄어든 42백만원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농업 소득 역시 전년도

보다 20% 감소한 130만원 정도로 떨어졌다. 이에 비해 농업외 소득은 2%정도 오른 170만원 수준으로 집계 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일부 농축산물 가격이 하락했고, 특히 쌀 변동직불금 지급지연 등 농업수입이 감소한 탓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농가소득은 농가가 1년 동안 농사를 포함한 모든 경제활동을 통해서 얻은 소득으로 농업소득, 농업외 소득, 그리고 이전소득 등을 모두 합한 금액을 말하는데 더욱이 농가소득 조사결과를 보면 농업인들은 주업인 농업보다 다른 부문에서 더 많은 소득을 올리고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농사를 짓는 것 보다 또 다른 일을 하면서 가정경제를 꾸려 나가고 있다는 말이다.

한편 평균 농가 부채는 최근 5년간 8백만원 정도 증가한 36백만원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단순 수치만 비교해보면 농가소득의 대부분을 부채를 상환하는데 쓰고 있는 상황이다. 무엇보다 다행히 농지와 같은 자산의 가치가 오르고 있어 그나마 위안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주요농산물에 대한 의무 자조금도입 등을 통한 수급안정에 신경을 쓰면서 공익형 직불금 지급, 재해보험 확대, FTA 피해보전 직불금 등으로 소득을 보전해 줄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이같은 대책들의 추진이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어느 정도 도움이 될까 심사숙고하면서 신중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쉽게 말하자면 직·간접적 지원보다 순전히 농업소득만으로도 농업인이 가정경제를 꾸려 나갈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을 함께 강구해야한다는 주장이다.

그래야 농업인이 부채가 많아도 희망과 보람을 갖고 농사를 지을 수 있지 않겠는가! 농업외 소득에 대한 의존이 심화되고 자산가치가 높아지는 것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 이농가능성이 있다는 것, 충분히 참고하면서 정부는 직·간접 자금지원과 함께 순수 농업소득을 올릴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길 힘주어 주문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