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희/ 전 홍농농협 조합장

금년초 통계청 발표에 다르면 지난해 도시에서 농촌으로 귀농한 인구는 모두 16천여명인데 이를 연도별로 따져보면 201625천여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72만여명, 201818천여명, 201916천여명으로 3년째 감소 추세이다. 정부와 지방 정치 단체가 하나같이 귀농귀촌인 유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도 농촌으로 향하는 발길이 오히려 줄고 있는 현상이니 참으로 답답하고 안타깝다.

더구나 귀농귀촌이후 이런저런 이유로 도시권으로 다시 돌아가는 역귀농도 적지 않은 수준이라하니 다급하고 심각한 상황이다.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귀농 관련 단체에서는 역귀농 인구를 30%인상으로 추산하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 경우 역귀농 숫자는 50%이상으로 파악하고 있어 사실상 할 말이 없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도시에서 생활하다가 농촌행을 결심하기 까지에는 수도 없는 비교와 많은 생각, 그리고 가족들과도 적지 않은 협의를 거쳤을 것이다. 더욱이 일상의 환경이 크게 바뀌고, 소득의 보장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무튼 귀농인들이 정착 후 겪는 애로사항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첫째는 종전 지역민들과의 갈등이고, 둘째는 경제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농촌 경제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원주민과 귀농인간 갈등의 원인은 농촌문화에 대한 이해부족, 마을일이나 행사등의 불참, 도시 생활방식 유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귀농전 보다 수입이 현저히 낮거나 앞으로도 호전 될 가능성을 전망하지 못해 역귀농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소득작목 선택과 판로문제, 농지구입 부담 등이 뒤따른다고 발표하고 있다.

아울러 이 밖에도 농촌지역의 열악한 교육과 교통, 보건, 의료 등 사회 인프라도 역귀농에 한 몫 하고 있다고 한다. 어쩌면 귀농정책의 실패라고 할 수 있는 역귀농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모름지기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역귀농을 막을 대책, 아니 해결방안도 귀농인과 원주민,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귀농인 자신의 철저한 사전 준비에 달려 있다. 특히 귀농한 후 농사로 안정적인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는 돌다리도 두드려 볼 만큼 조심스러우면서도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세월 갈수록 농촌지역은 고령화하고 거주인구가 감소하는 현실에서 귀농인은 사실 귀한 손님이 아닐 수 없다. 다소나마 농촌지역 정서에 맞지 않더라도 현지 주민들이 이해하고 양보하고 따뜻하게 감싸 안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정부도 기존 귀농인 정책에 허점은 없는지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챙겨봐야 할 일이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 리가 없다고 본다. 특히 귀농인 30% 이상이 역귀농 한다는 사실은 당국의 귀농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다. 그래서 역귀농은 본인에게도 커다란 충격이겠지만 특히 현지 주민에게도 실망과 상처가 되고 있다. 그러기에 귀농인 유치를 위한 노력 못지 않게 역귀농을 막을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해 둔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