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월 11일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10주년이다. 2011년 3월 11일 14시 48분 일본 동북부 지방을 관통한 진도 9.0의 대규모 지진으로 제1원전의 송전탑이 무너져 송수전이 모두 차단되었고 동시에 원전 가동이 정지됐다.
원전이 정지되자 원자로의 핵연료를 식혀주는 비상발전기가 가동되었으나 14m 높이의 쓰나미가 밀어닥치면서 비상발전기 가동이 멈추고 과열된 핵연료 용융으로 인한 수소가스가 폭발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폭발로 배출된 방사성물질이 최소 370-670조 베크럴이 누출되었다는 기록도 제기되었다.
사고로 인해 공기 중에 배출된 약 70%는 기류방향에 따라 바다로 나가고 30%는 일본 땅의 50% 이상을 오염시켜 지금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발전소의 오염수 처리 문제가 심각해졌고, 일본 정부는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 저농도 오염수를 바다로 방출했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주변에서는 사고 이후 요오드와 세숨 외에 다양한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었다. 이 방사능은 전 세계로 확산되어 미국 유럽 중국을 비롯해 우리나라에도 검출되었다.
후쿠시마원전 사고로 인해 전 세계는 경악했고 탈원전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했다. 그동안 추진된 과학기술의 진전으로 신재생에너지가 경쟁력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독일은 후쿠시마원전 사고 이후 완전 탈원전을 선언하고 2022년까지 원전의 영구정지 및 폐로 절차를 확실하게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원전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하면 수백 수천년 동안 지속되는 피해를 누가 책임질 것인지 해답이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러한 영향 탓인지 원자력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퇴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탈원전에 동참하여 원전발전 비중은 축소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관리의 핵심기술과 핵심기능은 영구적으로 유지되어 운전 원전은 물론 폐로 원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원전에 대한 안전문제가 영광군민은 물론 전 국민들의 관심사로 대두되자 원안위가 앞장서 후속조치를 발표하고 추진을 시작해 90% 이상 진행 중이며, 2024년에야 끝낼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원전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원안위가 그동안 폐쇄적으로 운영되면서 국민의 신뢰를 상실했었다. 이제는 투명하고 객관성과 전문성을 갖춘 조직으로 더 거듭나야 한다. 최근 한빛원전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사건들도 과거 원안위의 구시대적 운영시스템에 의한 파생 효과라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