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가능 용량은 9,017다발이다. 지난 9월말 기준으로 현재 6,824다발이 저장되어 75.7%의 저장률로 오는 2029년이면 포화상태가 된다.

윤석열 정부가 사용후핵연료 문제에 대책을 만들지도 못한 채 문재인 정부의 탈핵정책을 뒤집고 원전 산업 활성화를 발표해 우리지역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920일 정부는 원전을 녹색 에너지로 정하고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장·처분을 위한 문서화된 세부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중저준위 처분장 문제도 30여년이 걸렸는데 고준위방폐장 부지 선정은 엄청난 반대와 저항으로 쉽사리 결판이 나지 않아 원전산업의 최대 걸림돌은 방폐장 건설로 지목되고 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저장과 처분을 위한 고준위 방폐장 시설 기본계획엔 부지 선정 절차에 착수하고, 20년 안에 중간저장시설을 확보, 37년 이내에 영구처분시설을 마련한다는 방침만 나타나있다.

이렇게 방폐장 부지선정 작업이 불확실해지자 한수원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한수원이 부산 고리원전 안에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 건설 계획을 지난달 28일 한수원 이사회에 상정할 것이라는 소식이 있었다.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서자 상정을 취소하면서 잠시 소강 상태인 듯하다.

정부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2031년부터 고리·한빛원전 등의 기존 사용후핵연료 저장조가 포화 될 것에 대비해 원전 사업자에게 방사성폐기물 중간저장시설 확보 전까지 한시적으로 원전 부지에 건식 저장시설을 설치·운영토록 변경했다.

원전 지역 주민들은 한수원의 관리 기본계획이 주민 의견 수렴 등의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채 수립되어 무효라고 주장하며 정부를 상대로 집단 소송과 투쟁을 예고하고 있지만 기본계획은 예정대로 진행되는 분위기이다.

건식저장시설은 현재 저장조 속에 보관하고 있는 사용후핵연료를 꺼내 지상에 보관하는 시설을 말한다. 고리원전을 시작으로 추진할 계획은 이미 드러나 있다.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은 한수원이 부지 내 한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시설이라 말하고 있지만 영구처분장이 건설되질 못할경우 사실상 고준위핵폐기물의 영구처분장이 되는 것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잘못하고 아쉬울 때 한 약속도 시간이 지나면 외면하려는 한수원과 한빛원전을 영광군민들은 무엇을 어떻게 믿고 대응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할 시간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