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의 달인들-베이컨(1)

이번에는 서양근세 철학사를 통틀어 최고위관직에 올랐던 인물, 자기의 은인(恩人)을 법에 따라 처단한 다음 스스로 법의 올가미에 걸려 감옥에 간 철학자의 이야기이다. 그 주인공은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외쳤던 영국의 철학자, 베이컨(1561-1626년이다. 베이컨은 궁정대신과 그의 둘째 부인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무렵, 아버지는 옥새상서와 대법관을 겸직하고 있었다. 옥새상서(玉璽尙書)란 국왕의 인장(도장)을 보관, 관리하면서 국왕의 명령을 공식화하는 책임을 맡은 자리이다. 따라서 옥새상서는 국왕의 최측근 관직으로서, 국왕의 뜻과 명령을 하늘처럼 받들며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직책이다. 더욱이 베이컨의 이모부 윌리엄 세실(엘리자베스 1세 아래에서 국무장관, 재무장관 역임) 역시 엘리자베스 여왕의 최측근으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베이컨은 어려서부터 매우 조숙하고 지식욕이 왕성하였다. 12세 때 형과 함께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한 베이컨은 이 시절,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을 만난다. 당시 여왕은 베이컨의 남다른 지적(知的) 능력에 감탄하며, 그를 젊은 옥새상서라 불렀다. 그러나 그는 이 대학을 자퇴하고 만다. 그곳에서 중세 스콜라 철학(기독교 신앙을 이성적으로 논증하려 했던 철학)을 공부하도록 강요받은 데 대해 불만을 터뜨린 것이다.

그 후, 영국 대사관의 수행원 자격으로 프랑스 파리에 가서 3년 동안 머무르며 문학과 과학을 공부하였다. 이 동안 아버지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고국으로 돌아와 보니 유산은 이미 큰어머니에게서 난 세 자녀와 손위 형들에게 거의 상속되어 버렸고, 막내인 그에게 돌아오는 몫은 없었다. 그런 처지에 사치스런 생활에 길들여진 베이컨은 낭비벽이 심하여 많은 돈을 빌리기 시작했는데, 이 때문에 늘 빚에 시달려야 했다. 공무원으로 출세해볼까 하고, 당시 수상(首相)인 큰아버지를 비롯하여 가까운 친척들에게 취직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돌아오는 답변은 냉담하기만 하였다.

이끌어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그는 결국 스스로 올라가야만 했다. 변호사가 되어 출세하기로 결심한 베이컨은 그레이즈 법률 학원에 들어갔다. 그리하여 21세 때는 변호사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2년 후에는 젊은 나이로 타운톤 시(서부 잉글랜드 서머셋 주의 한 도시)의 하원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그 후 선거 때마다 승리하였다. 비록 웅변술을 배우지는 않았지만, 그의 연설은 간결하고도 발랄했으며, 정밀하고도 장중하였다. 그리하여 청중들은 그의 연설이 일찍 끝나버리지나 않을까 하고 마음을 졸였다고 한다.

 한편, 베이컨의 출세욕은 남다른 데가 있었다. 젊은 시절부터 그의 머릿속을 지배한 것은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수단 방법을 가리지 말라!’고 하는, 마키아벨리즘적인 사고방식이었다. 20세 때 콘월 주(영국 서남부의 콘월 반도에 있는 주) 의원직을 승계하여 의욕적으로 의회 활동을 펼치던 베이컨에게 하나의 기회가 왔다. 이 무렵 검사장의 자리가 비어 있었던 것이다. 그는 이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백부(큰아버지)와 종형(사촌형)의 도움을 요청하였다. 그런데 이때 경쟁자로 떠오른 인물은 공교롭게도 이종사촌 동생이었다. , 이모부 윌리엄 세실의 아들이었던 것이다. 이모부의 도움을 기대할 수 없게 된 베이컨은 엘리자베스 여왕의 애인이라고까지 소문이 난 2대 에식스 남작에게 구조 요청을 하였다. 하지만 결과는 모두 실패였다. 에식스 남작은 베이컨을 위로하기 위해 자신의 부동산을 베이컨에게 선물했고, 베이컨은 이를 팔아 상당히 많은 돈을 벌었다. -베이컨 2계속- (최근 저서고집불통 철학자들중에서)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