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의 유래

설은 한해의 첫날인 음력 1월 1일을 지칭하는 말로 원단(元旦) 원일(元日) 정초(正初) 또는 세수(歲首) 세초(歲初) 연두(年頭) 연시(年始)라고도 한다. 설은 묵은해를 떨쳐버리고 새로 맞이하는 한해의 첫머리이다.

따라서 설이라는 말은 "설다" "낯설다" 등의 "설"이라는 어근(語根)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즉 묵은해에서 새해로 전이 과정에서 새해에 대한 익숙하지 못한 단계에서 미숙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을 신일(愼日)이라고도 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하는 뜻도 여기에 있다고 할 것이다. 설이 언제부터 한국의 명절이었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기록에 의하면 신라인들은 원일 아침에 서로 하례(賀禮)를 하고 일월(日月) 신에게 배례를 한다고 되어 있다. 고려시대에는 9대 속절의 하나였고 조선시대에는 4대 명절의 하나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설의 민속은 한민족의 고속(古俗)과 전래된 중국의 민속이 동화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보며 그 대표적인 몇 가지를 들면 차례(茶禮) 설빔(새옷입는 것) 세배(歲拜) 덕담(德談)과 민속놀이로 윷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돈치기, 제기차기, 복조리걸기, 머리카락 태우기 등이 있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미리 마련해놓은 새 옷을 입는데 이 새 옷을 설빔이라고 한다. 옛날 목화를 심어 무명베를 짜서 어머니의 손으로 만든 옷을 입던 시절에도 어린이들에게는 반드시 이 설빔을 해주었던 기억이 난다. 어린이들이 설날과 한가위날을 학수고대 하는 것은 이 설빔과 세뱃돈이 큰 기쁨과 희망사항이었기 때문이다.



차례와 성묘(茶禮와 省墓)



설날의 제사는 차례와 성묘로 대별된다. 옛날에는 생존한 어른에게 세배를 하듯이 조상에게도 세배를 한다하여 성묘를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요즈음은 주로 한식날과 추석에 성묘를 하기 때문에 설에는 성묘를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차례는 아침 일찍이 각 가정의 대청마루나 큰 방에서 지내는데 세찬(歲饌)과 세주(歲酒) 떡국을 마련하여 젯상에 차려놓고 조상의 지방(종가일 경우 고조 증조, 조부모, 부모)을 붙여놓고 지내는데 차례는 약식제사 또는 제례(祭禮)로 보아야 하며 기제사와는 달리 간략하게 지낸다.

기제사와 차례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차례에는 멧밥과 국을 놓지 않고 떡국으로 한다.

2)해-생선조기탕 대신 혜-식혜를 놓는다.

3)술은 단잔만 올린다(三獻이 아니고 單獻으로 한다)

4)주인이 단잔만 올리고 그 외의 신위에는 윗대 고위부터 젯상위 잔반에 주전자를 들고 직접 따라 올린다.

5)차례에는 첨작을 하지 않는다.

6)차례에는 축문을 읽지 않는 경우가 많다.

7)차례에는 숙수(숭늉)을 올리지 않는다

8)강신분향과 강신뇌주(술을 모사 그룻에 붓는 행사)는 한번만 한다. 그 이외의 절차는 기제사와 동일하다.

참고로 기제사나 차례에 부녀자가 참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큰 잘못이다. 반드시 참례해야 하며 기제사시에는 아헌(亞獻)은 주인의 부(婦)가 하도록 되어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젯상(祭床)을 차리는 진설방법을 다음과 같이 적는 바 이것은 절대 원칙이 없으며 지방과 가정에 따라 각기 달리 할 수가 있다.

· 좌포우혜(좌측에 포, 우측에 혜)

· 어동육서(동쪽에 어류, 서쪽에 육류)

· 두동미서(생선의 머리가 동쪽, 꼬리가 서쪽)

· 조율이시(대추 밤 감 배의 순서로)

· 홍동백서(붉은색은 동쪽, 흰색은 서쪽)

이 경우 동서(東西)는 신위를 위주로

좌우(左右)는 주인(집사)위주로 한다.



세배(歲拜)와 덕담(德談)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에게 새해 첫인사를 올리는 세배를 한다. 세배는 무조건 부모에게 먼저하는 것이 아니라 세배는 가까운 사람부터 하는 것임으로 일심동체인 부부끼리 먼저 하는 것이다. 전통예법에 기혼자의 경우 부부간에 맞절을 가장 먼저 한다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직계 존속의 경우에는 가까운 사람의 순이 아니라 윗사람순이기 때문에 부모보다 조부모에게 먼저 해야 한다. 이렇게 세배가 진행되는 동안 덕담이 오고가며 어린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게 된다. 또한 노령의 조부모나 부모에게는 이 기회에 용돈을 드려 그들을 기쁘게 해드리는 경우가 많다. 세배가 끝나면 차례를 지낸 설음식으로 아침식사를 한다. 아침식사는 설의절식(節食)으로 일반화된 떡국을 먹는다. 정초에 서로 만나면 떡국 먹었느냐의 인사로 설쇠었느냐라는 뜻과 한 살 먹었다라는 뜻으로 말하고 있다. 식사를 마친 후에는 친척집과 이웃을 찾아 다니며 세배를 하는데 세배를 온 젊은이들에게는 음식과 술을 대접하고 어린이에게는 세뱃돈과 떡, 과일 등을 주며 덕담이 오고 간다. 세배를 드려야할 어른이 먼 곳에 살고 있을 경우에는 정월 15일까지 찾아가서 세배하면 예의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설날에 일가친척과 친구들을 만났을 때에도 과세 안녕하십니까 새해에 복많이 받으십시오. 새해에는 꼭 아들을 낳기를 빕니다 등과 같은 덕담을 주고 받는데 상대를 축원해주는 덕담이야말로 동방예의지국인 우리나라만이 소유한 큰 보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세배와 덕담은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해본다.

설 연휴가 끝나는 날을 기해 귀경길이 재촉이 된다. 늙은 노부모는 자식들에게 음식보따리를 바리바리 싸주워야 직성이 풀린다. 설 때 여유있게 만든 음식이며 호박 메주 검정콩이며 가지수는 가서 펴보아야 알게 된다. 자가용 트렁크에 가득 실어 놓고 떠날 준비로 설은 마감된다.



정영준 영광향교 전교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